본문 바로가기

밀레니얼 경제

출구가 안 보인다, 요즘 대구 아파트 시장에 벌어지는 일

대구 아파트 시장이 심상치 않다. 악성 미분양 물량이 쌓인 데다 정부가 사업성이 떨어지는 현장을 구조 조정하기로 방침을 정하면서 주택 시장 붕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분양 무덤이 된 대구

대구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1306가구로 집계됐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상관없음. /더비비드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대구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306가구로 집계됐다.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많은 수치다. 보통 건설사들은 미분양이 발생해도 공사 기간 동안 마케팅 활동을 통해 미분양 물량을 대부분 정리한다. 입주 시기까지 정리하지 못한 미분양은 악성 미분양으로 꼽힌다.

2022년부터 대구 지역의 미분양이 급증했다. 시 차원에서 주택 건설 신규 인허가를 중단하는 대책을 마련했지만 신규 아파트 입주가 시작되면서 악성 미분양이 작년 1월 277 가구에서 올해 3월 1306 가구로 4.7배 증가했다. 올해도 2만1869 가구가 입주 예정이어서 미분양 물량이 빠르게 늘 것으로 전망된다.

일부 건설사가 악성 미분양을 털기 위해 최초 분양가보다 낮춘 가격에 매물을 내놓자 웃지 못할 헤프닝도 벌어졌다. 기존 입주자가 할인가에 입주한 이들의 단지 출입을 막거나 관리비를 추가로 요구하는 등의 갈등이 벌어진 것이다.

◇충격 완화 위한 인센티브 필요 주장

정부가 구조 조정 방침을 정하자 지방 주택 시장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상관없음. /게티이미지뱅크

설상가상 정부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안정화를 위해 최대 23조원 규모 사업장을 구조 조정하기로 방침을 정하면서 지방 건설업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대구는 정리대상 1순위로 꼽힌다. 당국의 지침에 따라 금융사는 부실 우려 사업장을 솎아내야 한다. 정리 대상이 된 사업장은 공매를 통해 토지를 처분하고 출자 비율에 따라 자금을 회수한다.

매각 금액에 따라 다르지만 기존 사업자는 토지 계약금 마련이나 인허가를 위해 투입한 돈을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대구 지역의 부동산 관계자는 “가뜩이나 악성 미분양이 쌓여 있는데 정리 대상 PF 사업지까지 공매에 부쳐지면 주택 시장이 붕괴하고 기업이 줄도산할 것”이라고 우려감을 표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PF 시장 정상화를 위한 작업은 필요하지만 시장에 너무 큰 충격을 주지 않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한 전문가는 구조 조정이 지방 건설 경기 침체를 부추기는 부작용을 막으려면 위기 극복 후 회복 기대감을 살려야 한다”며 “미분양 해소를 위한 규제 완화 및 인센티브 정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진은혜 에디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