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스타(24)
-
4년 전 89억에 타워팰리스 펜트하우스 구입한 중국인의 현재 시세차익
외국인 대출 규제 사각지대 논란 주택 담보 대출이 최대 6억원으로 제한되고, 신축 아파트 잔금을 전세금으로 충당하는 것이 막히는 등 초강력 대출 규제가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외국인에게는 적용되지 않다 보니 역차별 논란도 나옵니다. 국내 부동산을 소유해서 임대하는 외국인 집주인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한국 부동산 시장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3일(목) 공개된 ‘이슈 읽어주는 부스타’ 영상으로 시청해보세요!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외국인이 소유한 주택이 무려 10만216가구에 달했습니다. 이는 전체 주택의 0.52% 수준으로 1년 전에 비해 9.58% 늘어난 수치입니다. 놀랍게도 이 중 절반 이상인 5만6301가구, 즉 56%를 중국인이 소유하고 있습니다. 중국인 소유 주택 역..
2025.07.03 -
이것 사라고 하면 무조건 손절하라, 절대 해선 안 되는 5가지 투자
투자하면 안 되는 땅의 특징은퇴를 앞둔 서민들의 노후 자금을 노리고 소액 투자를 유도하는 기획부동산 등 사기가 만연하고 있다. 18년 경력의 토지 전문 공인중개사이자, 경기 안성에서 부동산 공인 중개 사무소를 운영 중인 이일구 대표는 “개발 가능성, 주변 환경 변화에 따라 토지 가치가 크게 오르기도 하지만 ‘앞으로 무엇이 들어서 예정’이라는 말만 믿고 투자하면 낭패 볼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26일(목) 공개된 영상에서 이 대표는 ‘노후 자금 갉아 먹는 땅 투자 피하는 법’을 공개했다. 이 대표는 최근 책 ‘K반도체 벨트 토지를 사라’를 썼다. 그는 “땅 투자는 아파트, 상업용 부동산보다 더 먼 미래 가치를 보고 투자하는 경우가 많아 투자 전 더욱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강조했다.이 대표는 ‘투자해선 ..
2025.06.26 -
빌라 겨우 살 돈으로 경기도 외곽 '이것'에 투자, 월 300만원 노후 준비 끝냈다
노후 월 생활비 버는 토지 투자, 건축 요렁19일(목) 공개된 영상 '부스타'에선 ‘노후에 월 300만원 만들어 줄 땅 투자법’에 대한 노하우를 공유했다. 18년 경력의 토지 전문 공인중개사이자, 용인·평택에서 가까운 안성에서 부동산 공인 중개 사무소를 운영 중인 이일구 대표가 출연했다. 이 대표는 최근 책 ‘K반도체 벨트 토지를 사라’를 썼다. 이 대표는 “토지를 저렴하게 매입한 뒤 건물을 올려 임대하고 추후 매각하면 투자금 대비 3~4배 이익이 거뜬하다”고 강조했다.노후 대비를 위한 토지 투자를 위해선, 우선 노후 월 생활비를 정해야 한다. 이 대표는 영상에서 노후 생활비로 월 300만원이 필요하고 가정했다. 연간으로 따지면 3600만원이다. 투자금 대비 목표 수익률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투자금이 ..
2025.06.19 -
인구 3000만명 초거대도시가 온다 "앞으론 이런 도시에 돈 모여"
앞으로 세계를 이끌 도시는 도시·환경전략 전문가 김승겸 카이스트 교수가 22일(목) 공개된 ‘부스타’를 통해 역사의 주인공이었던 도시, 앞으로 세계를 이끌 도시를 주제로 강연했다.하버드대에서 도시계획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은 김승겸 교수는 20년간 세계 200개 도시를 다니며 부상하는 도시와 추락하는 도시의 특징을 분석했다. 현재는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과 뉴욕대학교에서 교수를 겸직하고 있다. 최근 책 ‘도시의 미래’를 출간했다.김 교수는 그간 역사적으로 세계 중심 역할을 해온 도시를 소개했다. 로마, 아테네, 뉴욕, 캘리포니아, 베이징, 싱가포르, 암스테르담, 서울 등을 언급했다. 그는 “이런 도시들의 특징은 인재를 끌어들이는 탁월한 능력이 있다는 점”이라며 “전 세계에서 창의적인 인재가 모일 ..
2025.06.05 -
"서울 강북 창동, 마곡만큼 천지개벽할 것"
대한민국 이끌 제2의 중심지는 도시·환경전략 전문가 김승겸 카이스트 교수가 22일(목) 공개된 ‘부스타’를 통해 수도권 집중 문제, 서울을 이을 대한민국 제2의 중심지를 주제로 강연했다.하버드대에서 도시계획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은 김 교수는 20년간 세계 200개 도시를 다니며 부상하는 도시와 추락하는 도시의 특징을 분석했다. 현재는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과 뉴욕대학교에서 교수를 겸직하고 있다. 최근 책 ‘도시의 미래’를 출간했다. 김 교수는 공간 민주주의는 멀어지고 주거의 빈부 격차가 심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영구임대주택, 보금자리주택 등 다양한 공공주택 정책을 펼음에도 수도권 주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이유로 잘못된 공급방식과 입지선정을 예로 들었다. 그는 “서울에서 먼 외곽 위주로 주..
2025.05.23 -
지금으로부터 25년 후 2050년 한국 대도시의 충격 시나리오
이 콘텐츠를 이해하기 위한 세 가지 관점'도시'는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내가 어디에 사느냐에 따라 가치관, 삶의 양식이 달라지기 때문이죠. 전체 인구 중 고령층의 비율은 25%를 넘어섰습니다. 인구 5명 중 1명은 만 65세 이상 노인이죠. 대한민국의 고령화 속도를 앞으로 더 빨라질 전망인데요. 앞으로 '노인'의 개념은 특별한 것이 아닌 사회의 표준이 될 것입니다. 15분 도시, 세대통합형 주거 단지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버드대에서 도시계획학 석사 박사학위를 받은 김승겸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는 20년간 세계 200개 도시를 다니며 부상하는 도시와 추락하는 도시의 특징을 분석했습니다. 현재는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과 뉴욕대학교에서 교수를 겸직하고 있습니다. 최근 책 ‘..
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