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값 오르는데 공급마저 부족
내년 서울 입주물량이 30여년 만에 최저 수준까지 줄어들 전망이란 통계가 나왔다. 빌라 전세사기와 고금리 영향으로 최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계속 오르면서 세입자의 불안심리가 커지고 있는데, 결국 새 아파트의 희소성이 커지며 집값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1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9841가구로 집계됐다. 연도별 입주 수치가 집계되기 시작한 1990년 이후 처음으로 1만건을 밑돌았다. 올해 약 3만건이 입주한 것에 비하면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한 수치다.
이런 추세는 앞으로도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서울에서 향후 4년 이내 입주하는 아파트를 다 합쳐도 3만7000가구 수준에 그친다. 그 마저도 대부분 2025년(2만5710가구)에 몰려있어 3년 후부터는 입주 가뭄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2026년 이후 입주 물량이 늘어나려면 지금 분양이 많아야 하는데, 최근 공사비 갈등 문제로 신규 정비사업이 사실상 중단되다시피 하고 있어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주택 인·허가, 착공 등 공급 선행지표들이 일제히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민간보다 공공 부문 실적이 더 부진한 상황이다. 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9월 공공 부문 주택 인·허가는 9584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3.5% 줄었다. 민간 부문 인·허가 감소 폭(32.2%)보다 크다. 공공주택 인·허가가 보통 연말에 몰린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작년 실적에는 못 미칠 가능성이 크다. 같은 기간 공공주택 착공은 7276가구로 전년 대비 64.8% 줄었다. 민간 부문의 감소 폭(56.5%)보다 크다.
작년 하반기부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 금리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민간 부문의 주택 공급은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이미 절차가 상당 부분 진행된 재건축·재개발 단지도 공사비를 두고 조합과 건설사가 갈등을 빚으면서 속도를 못 내고 있다. 공급 부족 우려가 커지자 정부는 지난 9월 3기 신도시 추가 공급, 신규 공공택지 확보 등을 골자로 한 공급 활성화 대책을 내놨다. 하지만 공급 업무를 주도해야 할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아파트 철근 누락 사태로 제 기능을 못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PF 시장 불안으로 민간 주택 공급이 막힌 상황에서 공공까지 차질을 빚으면 2~3년 후 집값·전셋값이 급등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연주 에디터
'밀레니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 불안하다는데 생애 최초 젊은 매수자는 줄잇는다. 괜찮아요? (0) | 2024.07.20 |
---|---|
요즘 같은 때 송파 외곽 아파트 경쟁률이 100대1 뚫은 이유 (0) | 2024.07.20 |
은퇴자금 영끌해 '지산' 투자하고 3년 만에 벌어진 일 (0) | 2024.07.20 |
"통장에 1억원 넘게 갖고 있다" 70대 중 얼마나 되나 봤더니 (0) | 2024.07.20 |
김포 '서울 편입론' 나온 이후 아파트 분양하니 이런 결과가 (0) | 2024.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