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 얘깃거리 드림

중국 직구 ‘알테쉬’, 이번엔 여성 제품에서 이것 나왔다

계속되는 알리, 테무, 쉬인
유해 물질 검출

쉬인 판매 여성용 속옷에서 '방광암 우려' 발암물질 아릴아민 검출./서울시

소위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로 불리는 3사 C커머스(중국 이커머스) 제품에서 또 유해 물질이 나왔다. 쉬인에서 판매되는 여성용 팬티에서 국내 기준치를 약 3배 초과하는 발암물질 아릴아민이 검출된 것이다. 아릴아민은 화학 염료의 일종으로 방광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물질로 알려졌다.

서울시는 6월 11일부터 한 달간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과 외부 전문 업체를 통해 쉬인·테무·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 중인 속옷 등 의류 59개, 화장품 89개, 식품 용기 140개, 위생용품 42개 등 총 330개 제품을 검사한 결과를 18일 공개했다.

이 검사에서 화장품 14개 제품에 국내 기준을 초과하는 세균이 나왔다. 알리익스프레스와 쉬인에서 판매된 립스틱 2종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됐고,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되는 블러셔 2건에서 황색포도상구균과 총호기성생균이 나왔다.

립스틱 2종에서 황색포도상구균 검출./서울시

황색포도상구균은 감염되면 발진이나 아토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호기성생균 수가 많으면 화장품 변질 우려가 커진다.

중국 커머스 업체는 초저가 전략을 내세워 이용자 수를 무섭게 늘리고 있다. 알리익스프레스는 개인정보 부당 수집 등으로 다소 주춤해 이용자 수 감소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이용자 수 3위로 플랫폼 강세를 보이고 있다.

알리익스프레스 광고 포스터./알리익스프레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올해 1∼5월 기준 월평균 이용자 수는 쿠팡이 3056만4130명, G마켓·옥션이 828만439명에 이어 알리익스프레스가 822만3910명이다.

테무 공식 사이트./테무

2023년 7월 한국 시장에 진출한 테무도 지난해 8월 이용자 수가 81만6077명에 불과했지만, 1년도 안 돼 720만4290명을 기록했다. 한국 시장 공략에 힘을 쏟으며 국내 플랫폼 이용자 상당수를 흡수했다는 분석이다.

쉬인 공식 사이트./쉬인

쉬인은 배우 ‘김유정’을 내세우며 6월 한국에 정식 진출했다.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을 묶어 ‘알테쉬’라고 부르는 용어도 등장했다.

이용자 수는 크게 늘고 있지만 저가 상품의 안전성 문제는 계속 불거지고 있다. 중국 커머스 플랫폼에서 제품을 구매하는 행위는 중국산 제품을 유통 경로를 거치지 않고 ‘직구’하는 것이다. 이때 국내 안전성 기준을 적용받지 않아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서울시가 7월 4일 발표했던 중국 온라인 쇼핑몰 안전성 검사 결과에서도 어린이용 장화, 모자, 가방 등 6개 제품에서 국내 기준치를 초과하는 유해 물질이 나왔다.

유해 물질이 검출된 어린이용 장화./서울시

이 중 쉬인에서 판매되는 어린이용 장화에서 기준치의 682배가 넘게 ‘프탈레이트계 첨가제’가 검출됐다. ‘프탈레이트계 첨가제’는 딱딱한 플라스틱을 가공할 때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화학약품으로 일종의 ‘환경호르몬’이다. 어린이의 성장을 방해하는 물질이다.

같은 검사에서 네일 제품도 국내 기준치의 최대 97.4배가 넘는 니켈과 국내 기준치를 1.6배 초과한 디옥산이 검출됐다. 니켈은 알레르기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금속 물질이다. 화장품 재료를 부드럽게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디옥산은 발암 가능 물질 중 하나로 간·신장 독성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6월 19일 서울시가 발표한 일회용품 안전성 검사 결과에서도 테무와 쉬인에서 판매되는 일회용품에서도 기준치를 넘는 세균이 검출됐다.

서울시는 일회용 면봉 10개 제품을 검사한 결과 이 중 6개 제품에서 국내 기준치를 넘는 세균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제품에 따라 기준치 최소 1.5배에서 최대 36.7배가 넘는 세균이 나왔다. 서울시 관계자는 “세균에 오염된 면봉을 사용하면 모낭염, 접촉성 피부염 등 피부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고 했다.

/더비비드

계속해서 중국 직구 제품에서 유해 물질이 검출되고 있지만 뚜렷한 해결책은 없는 상태다.

5월 16일 정부는 KC 인증을 받지 않은 제품의 직구를 원천 차단하려는 취지로 해외직구 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해당 대책은 저렴하게 물건을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침해한다는 소비자의 강한 반발에 부딪쳤다. 기업도 수십에서 수백만원의 비용을 들여 KC 인증을 받아야 한다며 불만을 표출했다. 결국 해당 대책은 실효성 없는 대책이라는 지적을 받으며 사흘 만에 철회됐다.

/이소연 에디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