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10)
-
노후 걱정 없다는 50대 통장 살펴보니
“실거주 집 한 채 빼고 퇴직 때까지 10억 모으는 게 목표입니다. 물려받을 곳 없는 맞벌이인데 충분할까요?”40~50대가 많이 모이는 커뮤니티의 주요 화두는 노후 준비다. 노후 대비를 잘 한 이에게는 실질적인 조언을 구하고, 검증된 방식을 참고해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서다. 스스로 노후 준비가 잘 되어 있다고 자신하는 이들은 어떻게 대비했을까.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는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2023년)를 토대로 ‘노후 준비가 탄탄한 50대 가정의 통장’을 만들었다. 통계청이 아직 일하는 50대 가구주를 대상으로 실시한 노후 준비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황혼기의 여유는 넉넉한 곳간에서부동산은 마음의 평안을 주지만, 진정한 소비 여유는 현금이 매달 들어와야 가능하다. 자산이 많아도 묶여 있으면..
2025.01.23 -
국내 최고 연금 전문가가 밝히는 퇴직연금의 속살
꼭 알아둬야 퇴직연금에 대한 오해 5가지 ‘방현철 박사의 머니머니’에선 민주영 키움투자자산운용 퇴직연금 담당 이사를 초대 손님으로 모셔 ‘퇴직연금 오해 5가지...속지 않는 법’에 대해서 얘기를 나눴습니다. ‘방현철 박사의 머니머니’는 국내외 금융시장 흐름과 대응 전략을 베스트 애널리스트,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증권가 고수들의 목소리로 전해 드리는 시간입니다. [방현철 박사의 머니머니, 영상으로 확인] : https://youtu.be/nS1E_tKzBsc민주영 이사는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수석연구원, 미래에셋투자교육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하나은행 퇴직연금부 자산운용전문역 등을 거치면서 퇴직연금 분야에서 잔뼈가 굵었습니다. 국내 최고의 연금 전문가 중 한 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민주영 이사는 직장인이라면..
2025.01.17 -
"은퇴 전부터 매달 연금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노년에는 최소한의 노동으로 벌어들이는 소득이 필수‘지금부터 준비하는 은퇴스쿨(이하 은퇴스쿨)’에서 조재영 웰스에듀 부사장이 ‘월지급식 ETF’에 대해 알기 쉽게 정리했다. ‘통장에 돈이 쌓이는 초저금리 재테크’란 책을 내기도 한 조 부사장은 삼성생명, NH투자증권 등에서 20년 넘게 재무설계사로 활동해 온 국내 최고의 은퇴설계 전문가다. [월지급식 ETF, 영상으로 확인] : https://youtu.be/bmOMsshMmis월지급식 ETF는 주식·채권에 투자해서 얻을 수 있는 이자, 배당 등의 분배 수익을 매월 받는 구조의 상품이다. 기존 ETF가 대체로 연(年) 또는 분기 단위로 배당금을 분배해왔는데, 월지급식 ETF는 매월 분배금을 받도록 설계한 것이다. 다달이 따박따박 들어오는 월세처럼 안정적으로..
2024.12.18 -
"월 50만원 연금 무시하면 노후 한 달 이만큼 더 일해야"
노후 생활비를 가늠하기 전 가장 먼저 해야할 일 ‘지금부터 준비하는 은퇴스쿨(은퇴스쿨)’에서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와 함께 ‘노후자금 얼마면 될까?’를 주제로 이야기 나눴다. 김 상무는 소셜미디어에서 ‘므두셀라’라는 부캐(부캐릭터·원래 모습이 아닌 다른 캐릭터)로 활동하는 국내 최고의 노후 설계 전문가 중 한 명이다. [적정 노후 생활비, 영상으로 확인] : https://youtu.be/vmKh-Dilo7Q적정한 노후 생활비는 얼마일까. 노후 월 생활비를 너무 많이 책정하면 현재 삶을 희생해야 하고, 그렇다고 너무 적게 책정하면 노후 삶이 팍팍해진다. 김 상무는 “요즘 은퇴 후 한 달 생활비로 ‘500만원’이 필요하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면서도 “남이 얼마를 쓰느냐는 중요하지 않고 중요한 것..
2024.12.17 -
60대 은퇴자가 상속세 아끼려고 10년에 걸쳐 한 일
상속과 증여,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재테크의 참견’은 20대에 투자로 35억원을 벌어 ‘파이어족(조기 은퇴족)’이 된 한정수 연두컴퍼니 대표와 KB증권 WM투자전략부 수석전문위원 신영덕 이사가 대담을 나누는 팟캐스트 형식 콘텐츠다. 고민 많은 사연자의 재테크 사정에 두 사람이 조언하고 훈수도 두며 참견하는 것이다. [재테크의 참견, 영상으로 확인] : https://youtu.be/TbSb94vxxEM?si=dhg8YPoH7Bv_zNtI이번 화에선 지난번 ‘은퇴를 앞둔 60대 맞벌이 가장의 고민’ 사연을 이어 다루며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할 시점은 언제쯤이 좋을지에 대해 다뤘다. 사연자는 34년 간 재직한 회사에서 퇴직 후 중소기업에 재취업해 월급으로 200만원을 받고 있다. 그의 아내는 37년 차 공..
2024.12.09 -
사라진 어머니 돈 3억원... 국세청은 "상속세 내라" 황당 사연
추정상속재산 제도로 억울한 일 없으려면 흔히들 나이가 들면 자식들 생각해서 현금 보다는 카드로 생활하라는 말들을 한다. 자칫 현금 인출 금액이 많으면 뽑은 현금을 자식에게 상속해준 것으로 추정하는 ‘추정상속재산’에 해당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추정상속재산의 기준을 함께 알아보자. 어떻게 하면 추정상속재산에 걸려 억울하게 상속세를 내지 않을 수 있을까. 삼성생명, NH투자증권 등에서 20년 넘게 재무설계사로 활동해 온 은퇴 설계 전문가 조재영 웰스에듀 부사장이 추정상속재산에 대해서 강연했다. . ◇1년에 2억, 2년에 5억만 기억하자 추정상속재산이란 부모가 사망하기 전 특정 기간 동안 재산 종류별로 현금화한 금액이 1년에 2억원 또는 2년에 5억원(채무 포함)을 넘으면 일단 상속재산으로 추정하는 제도다...
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