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10. 18:07ㆍ기획·트렌드
U턴 입학생들의 도전 이야기
일반대를 졸업 또는 중퇴하고 기술을 배울 수 있는 대학으로 재입학하는 이른바 ‘U턴 입학생’이 매년 늘고 있다. 2022학년 1170명, 2023학년 1240명, 2024학년 1396명 등으로 증가세다. 가장 큰 이유는 ‘취업’이다. 이론으로만 배웠던 전공을 실무 위주로 익히거나, 아예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려는 이들도 있다. 유턴입학, 그 후 취업까지 직진해 새로운 인생을 맞이한 이들을 만났다.
◇취업 발목 잡던 자격증 정복, 취업도 골인
가톨릭관동대를 졸업한 이호승(27) 씨는 원래 건축을 전공했다. 첫 해외 여행길에서 진로가 바뀌었다. 이 씨는 “비행기가 이륙할 때 밖에서 형광색 조끼를 입고 손을 흔들어주는 분들을 보면서 ‘나도 저 자리에 있고 싶다’고 생각했다”며 그때를 회상했다. 이후 항공기 정비학과로 전과해 졸업했지만 취업은 녹록지 않았다. 졸업할 때까지도 취득하지 못한 항공정비사 자격증이 발목을 잡았다.
전문 교육을 받기 위해 2024년 폴리텍대학 남인천캠퍼스 항공MRO과에 입학했다. 남인천캠퍼스는 항공기 정비 실습을 위해 C-172(세스나) 등 실제 비행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항공기 매뉴얼을 직접 읽고 해석하거나 다양한 부품을 장·탈착했다. 이를 통해 이 씨는 항공정비사 면허와 항공산업기사 자격증을 땄다. 항공기 설계 수업을 들으며 다쏘 시스템의 카티아 자격증도 취득했다. 현재 이 씨는 에어로케이 항공 정비본부 정비기획팀에서 일하고 있다. 이 씨는 “몸도 마음도 지친 취준생의 마음을 너무 잘 안다”며 “하지만 무슨 일이 있어도 포기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아르바이트 전문가, 기술 배워 로봇 전문가로 변신
천지영(25) 씨는 거제대 기계공학과에 입학했지만 고민 끝에 중퇴했다. 이후 아르바이트를 전전했다. 음식점 서빙부터 전단지 배포, 조선소까지 안 해본 일이 없다. 천 씨는 “단순 반복 업무를 하다 보니 자연스레 공정 자동화로 생각이 뻗쳤다”며 “로봇을 제대로 배워볼 순 없을까 고민하던 차에 폴리텍대학 로봇캠퍼스 입학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이후 천 씨는 개발자로 진로를 정했다. 협동로봇 등 로봇캠퍼스 내에서 최대한 많은 로봇을 다뤄보고 AI(인공지능), ROS(로봇 개발 플랫폼)에 대한 공부도 놓치지 않았다. 그 노력의 결과로 2025년 1월 한국전자기술연구원에 입사했다. 천 씨는 “생체 신호와 로봇을 결합해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정년 은퇴 후 찾은 새로운 꿈
서종원(58) 씨는 아주대 전자공학과 85학번이다. 철도 회사에 25년, 배터리 회사에 5년, 도합 30년의 청춘을 바치며 일했다. 2022년 6월 정년 은퇴했지만 여전히 힘이 넘쳤다. 서 씨는 “경력을 살려 재취업하고 싶었는데 나이가 늘 문제였다”고 말했다. 실제로 베테랑 경력의 중장년층이 취업 시장에서 어려움을 겪는 일은 비일비재하다.
서 씨는 다름 아닌 ‘학교’에서 새로운 기회의 씨앗을 찾았다. 2023년 8월 폴리텍대학 반도체융합캠퍼스에 신중년특화과정 전기내선공사실무 직종으로 입학했다. 단순 암기가 아닌 원리 이해에 집중하며 학습을 이어갔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단기간에 전기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했다. 서 씨는 “수료 후에도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까지 차례로 합격했다”고 자랑했다. 2024년 7월 전기시공사에 안전관리책임자로 입사했다. 재취업에 성공했지만 학업의 끈은 놓지 않았다. 전기기능장 필기 시험을 합격하고 실기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서 씨는 후배들에게 “나이가 많아도 하고 싶은 일이 있다면 망설이지 말고 도전하라”고 조언했다.
/이영지 에디터
'기획·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것이 한국 농업의 혁신, 모를 덜 심는 신농법으로 쌀 생산량은 20% 늘려" (2) | 2025.06.09 |
---|---|
바쁠땐 하루에만 1000명 투입, 한국에서 가장 먼저 마늘이 나는 곳 (3) | 2025.05.26 |
단맛에 감동하는 한국 딸기, 국산 품종 96.3% 전세 역전 (0) | 2025.02.17 |
이렇게 쫄깃해도 되는 거예요? 74도 주정으로 코팅한 김제 떡국떡의 비밀 (0) | 2025.01.20 |
그래도 아직 한국 경제에 희망이 있는 이유 (3)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