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되는 신축 쏠림 현상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인기 지역 중심으로 신축 아파트값 상승세가 확대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선 신고가 거래도 발생했다. 주택 공급 부족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신축 아파트로 수요가 몰린 탓이다.
정부가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지난 8일 추가 주택 공급 대책을 내놨지만, 대부분이 중장기 대책이라 당분간 신축 쏠림 현상이 지속할 전망이다.
◇신고가 거래 발생한 지역의 공통점
준공 4년 차인 서울 마포구 염리동 ‘마포프레스티지자이’ 전용 84㎡가 지난 13일 22억4000만원에 거래됐다. 19억4000만원이었던 올해 초보다 3억원 오르며 역대 최고가를 기록한 것이다. 작년 2월 입주한 동작구 흑석동 ‘흑석자이’ 전용 84㎡도 지난달 17억5000만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찍었다. 지난 3월 15억2000만원에 팔렸는데, 4개월 만에 15%(2억3000만원) 상승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준공 5년 이내 서울 신축 아파트값이 6월보다 2.34% 올랐다. 서울 전체 아파트값 상승률인 1.19%의 배 수준으로, 2012년 해당 통계가 집계된 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반면 준공 20년 넘은 구축 아파트값 상승률은 1.01%에 그쳤다.
서울 5개 권역별 상승률을 보면, 강남 3구와 강동구가 속한 동남권이 3.54% 올라 가장 큰 상승 폭을 나타냈다. 서초구 반포동과 강남구 개포동 등 최근 신축 대단지가 들어선 지역에선 역대 최고가 거래가 쏟아지고 있다.
지난해 입주한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 84㎡는 지난 6월 49억8000만원(32층)에 팔렸다. 올해 4월 같은 층이 42억5000만원에 거래됐는데, 두 달 만에 7억원 넘게 오른 것이다. 올해 1월 입주한 강남구 개포동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 전용 84㎡는 지난달 3층이 33억원에 거래돼 3월 실거래가인 27억5000만원(2층)보다 5억5000만원 뛰었다. 마포구·서대문구·은평구가 속한 서북권은 2.76% 올라 뒤를 이었고, 용산구·중구·종로구가 있는 도심권 신축 아파트값은 2.72% 상승했다.
반면 준공 20년 이상의 구축 아파트값은 강남 3구가 있는 동남권도 1.77% 오르는 데 그쳤다. 서울 서북권 신축 아파트(2.76%)보다 덜 오른 셈이다.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사업 진행이 지지부진한데다 공사비와 분담금이 치솟는 재건축 아파트 수요가 쪼그라든 탓이다.
◇"내년까지는 신축 아파트값 상승세 이어질 것"
나날이 상승하는 분양가 역시 신축 매수세를 자극하고 있다. 7월 서울 민간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1평)당 4401만7000원으로 1년 전보다 37.6% 올랐다. 역대 최고치다. 물량이 적어 당첨 확률도 낮은데, 분양가가 시세와 비슷하게 형성되자 완공된 신축 아파트로 눈 돌린 수요자가 늘어난 것이다.
신축 아파트 중심으로 집값이 급등하자 정부가 지난 8일 서울 그린벨트 해제와 재건축·재개발 활성화를 골자로 하는 주택 공급 대책을 내놨다. 하지만 중장기 대책이라 당장의 공급 부족을 해소하기엔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거시경제에서 대형 변수가 나타나지 않는 이상 내년까지는 신축 아파트값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진은혜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