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매입임대주택 공급 5000여 가구 그쳐
분양가 수준에 따라 흥행 성적이 극명하게 엇갈리는 양극화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에서 분양된 아파트의 청약 경쟁이 작년보다 6배 정도 치열해졌는데, 동시에 경쟁률이 10대1에도 못 미친 단지도 7곳이나 있었다.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주택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분양가가 저렴한 일부 단지에 수요자가 몰린 영향이다.
19일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청약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들어 서울에서 청약을 진행한 아파트 28개 단지의 일반 공급 4233가구에 총 25만2845명이 1순위로 접수됐다. 경쟁률은 59.7대1로, 지난해 연간 1순위 경쟁률(10.2대1)의 약 6배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시세보다 저렴하게 나온 아파트들이 세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하며 평균을 크게 올린 영향이다. 올해 들어 서울에서 청약 경쟁률이 100대1을 넘은 곳은 총 4곳이었다. 이달 14일 1순위 청약을 받은 서울 송파구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문정’은 평균 경쟁률이 152.6대1에 달했고 지난 7월 청약 신청을 받은 용산구 ‘용산 호반써밋 에이디션’도 1순위 평균 경쟁률이 162.7대1을 기록했다. 송파구와 용산구는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시세보다 분양가가 저렴하게 책정됐다.
주택 인·허가, 착공 등 공급 선행지표들이 일제히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민간보다 공공 부문 실적이 더 부진한 상황이다. LH 등 공공기관이 아파트·빌라·오피스텔을 사들여 청년·신혼부부나 고령자, 저소득층에게 시세보다 저렴하게 빌려주는 ‘매입 임대 주택’이 올해 실적이 좋지 못했다.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정부가 확보한 매입 임대 주택은 5300가구로 연간 목표 3만5000가구의 15.1%에 불과하다. 매입 임대는 임대료가 시세보다 최대 70% 저렴해 취약 계층의 선호도가 높다. 전세 사기 피해자에게도 제공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LH가 서울의 한 미분양 아파트를 분양가보다 높은 가격에 매입하면서 논란이 되자 정부는 올해 4월부터 매입 기준 가격을 시세가 아닌 ‘건설 원가 이하’로 강화했다. 그 여파로 올해 매입 임대 신청 건수는 목표치(2만6000가구)의 6분의 1도 안 되는 4000건에 그치고 있다.
내년 서울의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이 역대 최저치로 떨어지면서 공급 불안 심리도 커지고 있다. 22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1만921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부동산R114가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00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과거 입주 물량이 가장 적었던 2011년(2만336가구)보다도 절반가량 줄었고, 올해(3만2795가구)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이연주 에디터
'밀레니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퇴 후 시골에 집짓고 살고 싶다..."자칫 악몽" 전문가들은 뜯어 말리는 이유 (0) | 2024.07.22 |
---|---|
우리나라 부자 10명 중 6명의 비결은 역시 이것이었다 (0) | 2024.07.22 |
재산세 부담에 벌벌 떨던 왕십리 아파트 주인의 근황 (0) | 2024.07.22 |
은퇴 후 단지 생활비 아끼려고 이사갔다가 벌어진 일 (0) | 2024.07.22 |
자칫 신흥 영끌의 성지? '생애 첫 내 집' 올해 인기 지역 TOP 3 (0) | 2024.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