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칫 땅 치고 후회, 노후 파산 피하고 싶다면 지금이라도 '고스톱' 투자하라"

2025. 5. 12. 19:35카테고리 없음

이 콘텐츠를 이해하기 위한 세 가지 관점
      • 미국에선 연금 계좌에 100만달러 이상을 보유한 ‘연금 백만장자’가 빠르게 늘어 5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 전문가들은 안정적인 노후를 준비하려면 이 세 가지로 탄탄한 ‘3층 연금’을 쌓아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 영주 닐슨 성균관대 SKK GSB(경영전문대학원) 교수로부터 장기 투자로 연금 부자가 될 수 있는 방법을 들어봤습니다. 


퇴직연금은 국민연금, 개인연금과 함께 ‘연금 삼총사’로 불립니다. 영주 닐슨 교수는 투자의 법칙을 고스톱 게임에 빗대 설명했습니다. 

영주 닐슨 교수는 연세대를 나와 UC버클리 금융공학 석사, 피츠버그대 통계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월가에서 트레이더 등으로 15년 활동하다 현재 교수로 일하며 은퇴 설계 핀테크 기업도 세웠습니다. 



도구와 규칙을 파악하라🎴

첫 번째, 고스톱을 하려면 각 카드가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점수를 내는지 알아야 합니다. 투자 역시 그 방법과 도구를 잘 이해하고 이해해야 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예컨대 인공지능(AI) 열풍을 주도하는 미국 시장에 투자하고 싶다면 도구 중 하나인 S&P500 지수가 기간별로 어떤 수익률을 냈는지, 앞으로 전망은 어떤지 대략적으로라도 알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고스톱 카드처럼 골고루 패를 가져라🔍


두 번째 원칙은 ‘고스톱 카드처럼 골고루 가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자산 배분의 중요성입니다. 우리든 언제든 예상치 못한 상황에 닥칠 수 있기 때문에 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선 한 가지보다 여러 가지에 나눠 투자하는 게 필요합니다. 100만원을 투자해 50%를 잃었다면 원금을 회복하기 위해 그다음엔 100%의 수익률을 내야 합니다. 결국 너무 큰 손실이 나지 않게 하는 게 장기적으로 수익률을 관리하는 데에 굉장히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언제 멈출지를 정해라🤚

마지막 세 번째 원칙은 ‘언제 멈출지 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고스톱 게임을 할 때 우리는 ‘고(Go)’를 할지 ‘스톱(Stop)’을 할지 정해야 합니다. 주식·펀드 투자도 마찬가지입니다. 투자 후 손실을 보든 수익을 보든 이걸 계속 보유할지, 팔지 정해야 합니다. 이런 리밸런싱을 장기투자 기간에 지속적으로 해 나가야 합니다. 이런 원칙에 기반해 장기투자를 해 나가면 연금을 두둑이 불릴 수 있습니다.

⌨️머니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