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세 5

상가 자녀에게 싸게 넘겼다가 세금폭탄 맞았습니다

저가양도와 부담부증여 Q&A  세테크크크는 복잡한 세금 문제 때문에 고민하는 시청자의 실제 사연을 바탕으로 세무 전문가들에게 절세 노하우를 듣는 시간이다. 다솔 세무법인의 엄해림 세무사가 함께했다. 방송기자 출신인 엄 세무사는 증여·상속 분야 전문가다. [저가양도와 부담부증여, 영상으로 확인] : https://youtu.be/IAjOjgTMBLk이번 영상에선 저가양도와 부담부증여에 대한 시청자 질문을 골라 엄 세무사와 이야기 나눴다. 이미 저가양도와 부담부증여 관련 영상을 2회 업로드했는데, 이에 대한 세부 질문이 많았다. 몇 가지를 골라 일문일답으로 정리했다. 이 영상을 보기 앞서 작년 12월 7일과 3월 12일에 올라온 영상을 시청하길 추천한다. Q.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특수관계인’에 외조부모와..

밀레니얼 경제 2024.12.04

손녀에게 8억8000만원 아파트를 물려 주겠다는 할아버지

저가양도와 부담부증여세테크크크는 복잡한 세금 문제 때문에 고민하는 시청자의 실제 사연을 바탕으로 세무 전문가들에게 절세 노하우를 듣는 시간이다. 다솔 세무법인의 엄해림 세무사가 함께했다. 방송기자 출신인 엄 세무사는 증여·상속 분야 전문가다. [저가양도와 부담부증여, 영상으로 확인] : https://youtu.be/z_SU363_zpo엄 세무사와 함께 ‘저가양도와 부담부증여’를 주제로 이야기 나눴다. 세 달 전 같은 주제를 다룬 적이 있는데, 비슷한 고민을 토로하는 시청자·독자 사연이 다수 들어와 한번 더 시간을 마련했다. 이번에는 할아버지가 손녀에게 저가양도를 고려하는 경우다. 사연을 보낸 사람은 며느리다. 아흔 살 시아버지가 스물 여덟 딸에게 아파트 한채를 물려주려는 상황이다. 서울 비조정대상지역에..

밀레니얼 경제 2024.12.03

15억 아파트 자녀에 주고 본인은 양평 내려가 살겠다는 60대

저가양도와 부담부증여 세테크크크는 복잡한 세금 문제 때문에 고민하는 시청자의 실제 사연을 바탕으로 세무 전문가들에게 절세 노하우를 듣는 시간이다. 7화에서는 다솔 세무법인의 엄해림 세무사가 함께했다. 방송기자 출신인 엄 세무사는 주로 증여·상속 절세 상담을 한다. [저가양도와 부담부증여, 영상으로 확인] : https://youtu.be/Rfl1M88dCr4이번 화에선 딸에게 ‘저가양도’를 고민 중인 60대 부부 사연을 다뤘다. 사연자는 15년 전 서울에 있는 26평짜리 아파트를 3억원에 사서 살다가, 경기 양평에 단독주택을 지어 작년에 이사를 했다. 기존 아파트 현재 시가는 15억원이고, 보증금 7억원에 전세를 두고 있다. 사연자는 신규주택을 취득하면서 불가피하게 2주택자가 되었고, 기존에 보유하고 있..

밀레니얼 경제 2024.11.29

증여세 없이 2억원 자식에게 주려면

자식에게 재산을 어떻게 물려줄 것인가 조선일보 경제 유튜브 채널 ‘조선일보 머니’와 조선닷컴을 통해 공개된 ‘지금부터 준비하는 은퇴스쿨(이하 은퇴스쿨’)에서 조재영 웰스에듀 부사장은 증여에 대해 다뤘다. ‘통장에 돈이 쌓이는 초저금리 재테크’란 책을 내기도 한 조 부사장은 삼성생명, NH투자증권 등에서 20년 넘게 재무설계사로 활동해 온 국내 최고의 은퇴설계 전문가다. 나이가 든 부모의 큰 고민 중 하나는 자식에게 재산을 어떻게 물려줄 것인가다. 무턱대고 증여했다가는 ‘세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어 절세 노하우가 꼭 필요하다. 특히 주식을 증여할 때에는 재산가액 선정 기준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조 부사장은 “주식은 당일 종가 기준이 아니라 증여 시점 전후 2개월 종가를 기준으로 따진다”고 했다. 향후 ..

밀레니얼 경제 2024.10.30

안수남 "15억 아파트 한 채만 있어도 상속세, 해결 방법은?"

머니머니 시즌2 ‘조선일보 머니’와 조선닷컴을 통해 ‘머니머니 시즌2′가 공개됐다. ‘머니머니 시즌2′는 국내 최고 전문가들과 함께 돈이 되는 경제 이슈를 짚어보는 콘텐츠다. 각 분야 전문가와 함께 이슈별로 조선일보 담당 기자들이 진행자로 나선다. 이날 공개된 ‘머니머니 시즌2′는 자산가들 사이에서 ‘양도세 대가(大家)’로 불리는 세무법인 다솔의 안수남 대표가 출연해 본지 기자와 ‘2023년 세법개정안’을 집중 분석했다. 정부는 매년 세법개정안을 확정해 국회에 제출하고, 국회 심사에서 통과되면 다음 해부터 적용한다. 지난 7월 정부가 발표한 ‘2023 세법개정안’은 현재 국회에서 논의 중인데, 다주택자 중과세 등 중요한 내용들이 모두 빠졌다는 지적과 ‘부자감세’라는 비판을 동시에 받고 있다.안 대표는 “..

밀레니얼 경제 2024.10.18